설레서 잠이 안 오더란 말이다, 고작 다락방인데@통영 북스테이 '봄날의 책방' / 고미랑

설레서 잠이 안 오더란 말이다, 고작 다락방인데
@통영 북스테이 '봄날의 책방' / 고미랑

책방에서 1박 2일 어때? 이번 주말에는 가족과 함께 북스테이에서 하룻밤 머물며, 책과 조금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북스테이_책과함께머문하루

통영으로 여행지를 정한 것은 떠나기 일주일 전이었다. 함께 여행가는 이의 아버지 댁이 있던 순천에서 급하게 통영으로 여행지를 변경했다. 하고 싶은 것이 많고 즉흥적인, 여행 동료와 나의 성격이 한몫했을 것이다.

통영으로 의견을 모은 후 제일 먼저 떠올린 곳은 2년 전부터 늘 가보고 싶었고, 하룻밤 묵고 싶었던 통영 ‘봄날의 책방’의 북스테이, 봄날의 집에 있는 ‘장인의 다락방’이었다. 봄날의 책방은 출판사 ‘남해의 봄날‘에서 운영한다. 사실 통영보다는 장인의 다락방과 남해의 봄날에서 출간한 책에 꽂혀 있던 나는 섬 관광에는 관심이 없었고, 봄날의 책방에 숙박하는 게 더 중요했다.

7월 말, 여름 휴가철의 정점인 성수기에 운도 좋았다. 봄날의 집에 연락하자 딱 한 공간, 장인의 다락방만 비어 있다고 했다. 신이 났던 나는 당시 내 벌이로 감당이 안 되는 금액을 내며 통영으로 향했다. 새벽 3시 30분, 내가 있던 경기도 '푸른지대(경기청년문화창작소)' 작업실에 동료의 자동차가 도착했다. 새벽을 가르고 간다면 그 먼 통영도 한달음에 달려갈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생각 없이 대중교통을 제쳐두고 자가용으로 출발했다.

장장 네 시간도 넘는 운전이 피곤했으리라. 녹초가 된 동료가 운전으로 인한 허리 아픔과 답답함을 참고 억누르는 것이 보였다. 운전석 옆 좌석에서 그저 통영과 남해의 봄날에 간다는 생각에 들뜨고 두근대며 설렜던 나는 눈치가 좀 보였지만, 이미 마음은 그곳에서 헤엄치고 있었다. 어둡던 하늘의 색깔이 변해갔다. 도착했을 때는 아침을 마주할 수 있었다. 유명하다던 충무김밥을 먹은 후 가장 먼저 한 일은 마을 어귀에 있는 오래되고 낡은 목욕탕에 들어가서 통영을 맞을 아침 채비를 곱게 하는 것이었다.

체크인은 늦은 오후라서 통영 이곳저곳을 헤매며 돌아다녔다. 급하게 변경된 여행지라 모든 것이 즉흥적이었고 성급했다. 우리는 통영에서 일분일초를 마음 가는 대로 움직였다. 봄날의 집에도 원래 체크인 시간보다 더 일찍 도착했다. 대신 봄날의 책방에 들러 평소 사지 않았던 책을 여러 권 집어들고 구매했다. 한 사람 당 서너 권을 넘게 구매했으니 평소보다 많이 산 것이다.

'봄날의 책방' 전경 ⓒ고미랑

'봄날의 책방' 책방지기(이하 봄날지기)는 마치 미술관 큐레이터처럼 집 구석구석을 설명해주고 안내해주었다. 그래서인지 미술관의 작품을 보듯 봄날의 집을 구경할 수 있었고, 아낄 수 있었으며 소중하게 대할 수 있었다.

남해의 봄날에서 만든 지역지도, 문학지도, 예술가 지도 등 그들이 통영을 읽어가며 만들어낸 문화가 새롭게 통영을 보고 읽게 만드는데 그것이 얼마나 세련되고 감동이던지... 그날 우리가 묵은 장인의 다락방에서 설레서 잠이 안 오더란 말이다. 남해의 봄날에서 펴낸 <통영예술기행> 같은 책을 읽고 왔다면 통영이 가진 내음을 맡는 것이 더 수월했을 텐데, 그 점이 못내 아쉬웠다.

봄날의 집 장인의 다락방 ⓒ고미랑하룻밤 묵었던 장인의 다락방 ⓒ고미랑

미술관에 걸린 그림을 보는 듯 봄날의 집을 둘러보며 감탄하던 중에, 봄날지기가 여럿이 요트를 타러 가면 인당 2만 원으로도 통영 안에 다른 섬에 갈 수 있다고 말해주었다.

봄날의 집에 도착하기 전, 통영 마을 어귀에서 요트를 탄 관광객들을 보고 부러워하던 친구가 굉장히 반가워했다. 그렇게 남해의 봄날 직원분들과 봄날의 집에서 머무는 손님들 열두 명은 한 요트를 타고 바다 위에 머무르는 근사한 추억을 쌓을 수 있었다. (당시) 봄날지기였던 '고래'님은 서울에서 대학교를 나온, 통영에는 아무 연고도 없는 청년인데 단지 이곳에서 일하고 싶어 자진해 섬으로 내려와 봄날지기로 일하고 있다고 했다. 낭만이 있는 책방지기의 사연을 들으며 어둠은 깊어갔다.

봄날지기들과 함께 한 요트 여행 ⓒ고미랑

장인의 다락방에 묵은 사람만이 즐길 수 있는 2층 옥상 테라스에 앉아 맥주를 들이켰다. 조용한 마을 어귀에 자리한 봄날의 집 테라스는 숨겨져 있지만 매력적인 장소다. 동네엔 낮은 건물들 뿐이라 동네가 훤히 보이는 테라스에 앉아 있으면 아기 울음소리, 샤워기 물소리 등 동네의 소리가 온전히 전해진다. 이곳에서 오늘 하루 동안 통영을 만끽했던 이야기를 주고받은 저녁은, 봄날 북스테이가 주는 선물 같았다.

장인의 다락방 창문들 ⓒ고미랑

밤이 깊었지만 그냥 잠들기가 아쉬워 책방에서 산 <수박 수영장>이라는 그림책을 읽기 시작했다. 나는 오래전부터 그림책을 만들고 싶은 꿈이 있다. 부모님이 운영하는 강화도 시골 민박집에 오는 손님의 이야기와 드로잉을 엮은 구술화 그림책을 말이다. 이 그림책이 독립출판물로 완성되는 날, 아마도 이르면 내년 5월의 봄날에 통영 이곳에 다시 올 것이다. 이곳에 머물며 내 그림책을 몰래 이곳 한쪽 어딘가에 꽂아 놓고 가리라. 이런 작지만은 않은 꿈이 이루어질 날을 상상하며 새벽녘이 되어서야 겨우 눈을 붙였다.

떠나야 하는 아침, 북스테이 주인장이자 건축자인 동네 목수 선생님께 다음 여행지에 대한 조언을 듣고 몽돌 해수욕장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무거웠다. 여행에서 돌아가고 계절이 바뀌면, 나는 지루한 일상을 보내고 있겠지만 통영 봄날의 책방은 언제나 그때 모습 그대로 계속 남아주길 바란다.

봄날의 책방 입구 ⓒ고미랑봄날의 책방 내부 ⓒ고미랑

2018년 5월 현재, 게스트하우스 봄날의 집 1층은 책공간으로, 2층 다락방은 회원 마일리지를 사용해서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현재 숙박 예약은 받고 있지 않다.

© 이곳에 소개된 책방은 동네서점지도로 검색할 수 있으며, 관련 글과 사진 등의 저작권은 해당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습니다. 동네서점지도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만들어 갑니다. 제보하기

e북 | 북스테이, 책과 함께 머문 하루
박초롱, 김건숙 박초롱, 김건숙, 조현욱, 이상기, 임현정, 고미랑, 이보미, 유명숙, 김태리 기고 ㅣ오마이뉴스 책동네 기획 ✕ 퍼니플랜 펴냄

책방에서 1박 2일 어때?
이번 주말에는 가족과 함께 북스테이에서 하룻밤 머물며, 책과 조금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13일까지, 약 6주간 오마이뉴스 책동네와 함께 ‘책과 함께 머문 하루’ 체험수기 공모를 진행했습니다. 우수상과 장려상을 받은 응모작 중 기사로 실린 글을 선별해 소개합니다. 이 책의 판매 수익은 동네서점지도 서비스 운영에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