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방 풀무질과 나, 그 화려했던 23년

책방 풀무질과 나, 그 화려했던 23년
신간출시 <책방 풀무질>
동네서점 아저씨 은종복의 25년 분투기
나는 책방 풀무질을 23년째 꾸리고 있다.
풀무질은 서울 명륜동에 있는 작은 인문사회과학 책방이다. 내가 처음 책방 문을 연 것은 아니다. 책방은 1985년 여름 처음 열었다.
그 때는 대학 앞에는 인문사회과학 책방들이 하나 둘 쯤은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문을 닫고 손가락에 꼽을 정도만 남았다.
책방 이름이
왜 ‘풀무질’일까.
대장간에서 낫이나 칼을 만들 때 불을 피우고 센 바람이 일어나도록 푸푸 불어주는 기구가 ‘풀무’다. 명사형이 풀무질.
풀무질은 성균관대 신방과 학회지 이름이었다.
풀무질은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회지 이름이었고 그것을 빌려 온 것이다. 내가 4번째 일꾼이다. 앞에 일했던 사람들은 2,3년씩 책방 풀무질을 꾸렸다. 나도 딱 10년만 책방을 하려 했다.
2003년 4월 1일이 내가 책방 풀무질을 꾸린 지 10년째 되는 날이었다. 책방은 다른 사람들에게 맡기고 농사꾼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그럴 수 없었다.
두 가지 큰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나는 내가 책방을 꾸리고 3년 뒤의 일이다.
1997년 4월 15일 국가보안법이적표현물 판매죄로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갔고, 서울구치소로 옮겨져 한 달을 갇혔다.
나를 국제사회주의자 조직원으로 몰려 했다.
그 때 수사관들은 나를 국제사회주의자 조직원으로 몰려 했는데 아무런 혐의가 없자 이적표현물을 팔았다는 죄를 뒤집어 씌웠다.
책방 풀무질에서 파는 책들은 다른 큰 책방에서도 파는 것들이었다. 전태일평전, 월간 말지 같은 것들이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그 때 경찰들이 압수한 책 가운데 박라연이 쓴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온 시집 ‘서울에 사는 평강 공주’라는 책이 있었다. 나중에 이적표현물 물품을 보니 그 책 제목은 ‘서울에 사는 평양 공주’라고 돼 있었다.
참 어이없는 일이다.
내가 수사관에게 물었다. "이런 책들은 일반 대형서점에도 파는 책인데 그들은 왜 안 잡아오는냐"고 했더니 그들은 책을 팔아서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이고 나는 책을 팔아서 북괴를 이롭게 하려고 한다고 했다.
그러니 이곳에서 나가면 책도 안 팔리는 책방을 그만하고 그 자리에 술집이나 하라고 했다.
나는 그 일을 겪고 나서 더욱 책방 풀무질을 잘 꾸려야지 다짐했다.
또 하나 내가 책방을 죽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사건이 있다.
나는 가슴이 아파 잠을 잘 수 없었다.
2003년 봄 미국은 이라크를 쳐들어가서 그곳 아이들을 미사일로 무참히 학살했다. 갈수록 어른들이 벌인 싸움에 애꿋은 아이들이 죽어가는 것을 눈을 뜨고 볼 수 없었다.
밤잠을 설치고 글을 썼다.
내가 쓴 전쟁반대공동행동에 함께 하자는 글이 한겨레신문 ‘왜냐면’ 꼭지에 실렸다. 그 글이 나오고 여러 사람이 책방 풀무질로 전화를 해서 내게 힘을 주었다.
글을 써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글을 써서 책방에 오는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고 맑고 밝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야지 싶었다.
그 날부터 새벽잠을 줄이고 글을 썼다.
16절지 한 쪽 분량으로 글을 써서 책방에 오는 손님들에게 나눠주고 같이 이야기를 나눴다.
책방에 책을 사건 안 사건 내가 쓴 글을 받아야 했다.
언제부턴가 그 글은‘공포의 A4’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손님들에게 꼭 받아가야 하고 읽어야 하는 공포물이 되었다.
사실 지금은 또 다른 이유로 책방 풀무질을 계속 꾸리고 있다.
책방 살림이 어렵다.
1995년부터 생긴 인터넷서점과 도서정가제가 없어지면서 사람들은 싼값으로 책을 살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너도나도 손전화기를 가지고 있어 어디서나 쉽고 싸게 책을 살 수 있다.
지지난해 10%만 싸게 줄 수 있는 부분도서정가제가 쓰이고 있지만 무너지는 책방 살림을 살리기에는 부족하다. 갈수록 책방 빚이 늘어서 책방 문을 닫고 싶어도 빚을 갚을 수 없어 닫지도 못한다.
책방 풀무질은 새롭게 일을 꾸몄다.
책방 바로 옆 자리에 ‘풀무질책놀이터협동조합’을 만들었다.
4평이 채 안 되는 작은 공간이지만 그곳에선 동네 아이들이 와서 그림책도 읽고 옛이야기도 듣고 그 아이 아버지 어머니들이 모여 바느질도 하고 빵도 만들고 영화도 같이 본다. 책읽기모임도 여러 개가 있다.
시읽기모임, 소설읽기모임, 녹색평론읽기모임, 철학고전읽기모임, 환경책읽기모임. 글쓰기모임도 있어서 살아가면서 느끼는 아픔이나 기쁨을 함께 나눈다.
누군가 내게 꿈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말한다.
하나는 온 세상에 아이들 얼굴에 환한 웃음꽃이 피는 세상을 맞는 것이다.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이 어른들도 행복한 세상이고 지구마을이 평화로운 세상이다.
2000년대 초에 한 방송사에서 지금은 돌아가신 이오덕 선생님과 권정생 선생님에게 물었다. 어떤 꿈을 꾸고 사시냐고. 두 분은 똑같은 말씀을 하셨다.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이 와야 한다고.
그랬더니 그 기자가 선생님께서는 1970년대도 같은 말씀을 하지 않으셨냐고. 선생님들은
“30년이 지났지만 지금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이 되었냐? ”
고 되물었다고 한다.
또 다른 꿈은 남북이 평화롭게 하나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가 무기를 쌓아서 만드는 평화가 얼마나 오래 갈까. 상상력이 있어야 평화도 온다.
그 꿈을 나누고 싶다.
책방 풀무질에 오는 사람들과 그 꿈을 나누고 이루고 싶다.
동네 책방이 살아야 마을이 살맛나는 곳이 되고 마을이 살아야 마을 사람들도 서로 웃고 떠드는 정이 생긴다.
한 나라를 넘어 지구마을에 사는 목숨들이 제 목숨대로 살며 춤추고 떠들고 아픔과 기쁨을 나누고 서로 사랑하는 세상은 어느새 성큼 다가온다.
2016년 8월 28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19 인문사회과학 책방 풀무질 일꾼 은종복 씀.
사진: 구선아 in 여행자의 동네서점
신간출시 <책방 풀무질>
동네서점 아저씨 은종복의 25년 분투기
풀무질(Pulmuzil)
사회 인문학서점 |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앞에서 사회과학서점의 명맥을 튼튼히 잇고 있는 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