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서점이 가장 많은 도시 어딜까?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 보고서로 알아보자.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국내 지역서점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지역서점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보고서입니다. @mcstkorea @kpipaorkr

2022 지역서점 실태조사
보고서 요약
1 전국시도별 인구 10만 명 당 서점 수는 전국 평균 5.3개의 서점으로, 제주가 13.7개로 가장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대전이 8.4개로 나타남.

2 종사자 수는 30대 이하가 24.0%(20대 8.5%, 30대 15.5%)이었으며, 50대 이상이 56.4%(50대 32.3%, 60대 이상 24.1%)로 지역서점의 종사자 연령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지역서점 매장 면적은 66m2 이하가 48.4%로 가장 높게 나타남.

3 지역서점의 연평균 도서 비치 종수 현황을 살펴보면 2,000종~5,000종 미만(16.9%)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00종~2,000종 미만(14.6%), 5,000종~10,000종 미만(14.0%) 순으로 나타남. 평균 매출액은 평균 면적별로 보면 약 2배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됨.

4 지역서점의 2022년 연매출액은 1억 원 미만(43.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1억 원 이상~2억 원 미만(19.7%), 2억 원 이상~3억 원 미만(13.2%) 순으로 나타남.

5 지역서점의 학교장터, 나라장터 가입의 비율을 복수 응답으로 살펴본 결과 학교장터 (65.8%), 나라장터(55.9%) 순으로 나타났음. 나라장터와 학교장터에 동시 가입한 비율은 51.3%이며, 해당 없음도 29.6%로 파악됨.

6 지역서점이 책판매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SNS 운영 3.19, 책 읽는 공간 제공 3.17, 회원제 서비스 3.16점, 홈페이지/인터넷카페/ 블로그 3.10점, 카페 등 휴게 공간 운영, 책배달 서비스, 지역사회 연계활동, 문화프로그 램 운영, 북큐레이션 운영이 약 3.00점, 온라인 도서판매 몰 운영 2.96점, 이메일/우편/ 전단지 홍보, 정기구독 서비스 2.82점으로 나타남.

7 2022년 기준 약 19.3%의 지역서점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2022년 기준 지역서점의 문화프로그램 개최를 위한 비용 중 자부담 비율은 53.3% 로 외부 지원 비율 46.7%보다 높게 나타남.

8 동아리 운영(커뮤 니티 운영) 33.2%, 강연/강의/토론회(북토크, 전문지식 등) 31.8%, 워크숍(만들기, 글쓰 기 등) 25.3% 순으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함. 매장 면적별로 살펴보면 전체 프로그램 개최 횟수 대비 66m2 이하 59.3%, 66m2 초 과~165m2 이하 33.2% 순으로 개최 한 것으로 나타남.

이용자를 위하여(범례)
- 조사 기준일: 2022년 12월 31일
- 조사 대상
총 2,716개의 지역서점 ‘조사 모집단’ 대상으로 전수 설문 조사
- 한국서점조합연합회 <2022 한국서점편람>(2022.2) 2,500여 개 @kfobaorkr
- (주)동네서점 목록 780여 개 @bookshopmap
- 한국출판협동조합 거래서점 목록 690여 개 등 @modoobook.co.kr
(대형체인서점, 온라인서점 등은 지역서점 정의에 맞지 않아 제외) - 관련 문의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지역출판산업팀 ☏ 063-219-2786